5/02/2014

[왕좌의 게임 / Game Of Thrones] - 바라테온 가문




바라테온 가 

(House Baratheon)


문장 : 왕관을 쓴 수사슴
가언 : 맹위는 우리 몫이다(Ours is the Fury).


가문 소개                              

연원이 오래된 가문으로, 구 바라테온 가문이라고 볼 수 있는 더랜든 가문은 타르가르옌 가문의 정복 이전에는 스톰랜드와 국왕령인 킹스랜딩을 왕으로서 다스렸다.

본거지는 난공불락의 요새로 유명한 스톰즈 엔드. 성을 지을 때 마법을 사용했다는 언급이 있으며, 전설을 곧이 곧대로 믿자면 바다의 신과 바람의 신이 일으킨 폭풍도 스톰즈 엔드를 무너뜨리지 못했다.

로버트 바라테온이 반란을 일으켜 왕이 된 이후 왕가가 된 가문이다. 참고로 로버트와 그의 동생들은 구 왕가인 타르가르옌 가문과 친척 관계다. 로버트 3형제의 할머니 라엘르는 아에곤 5세의 딸.

바라테온 가문은 흑발이 대부분인 듯하다. 로버트, 스타니스, 렌리 3형제 모두 흑발이었다. 그런데 드라마에서는 전부 다 갈색 머리로 나온다. 심지어 로버트의 서자인 젠드리도 갈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왕가의 시조인 로버트 바라테온은 즉위한 이후 향락에 빠져 살며 암군이 됨에 따라 옛 왕가인 타르가르옌이 쌓아두었던 국고를 모두 말아먹고만다. 게다가 로버트 사후 즉위한 조프리는 로버트를 능가하는 암군이자 사이코 폭군으로 폭정과 병크만 저질러 다섯 왕의 전쟁이라는 웨스테로스 최대의 내전을 만들어 낸다. 이로 인해 나라가 개막장이 된것은 당연지사. 왕가의 위신도 크게 추락하고 만다.

그러다 조프리가 독살되고 온화한 성격인 토멘이 왕이 되어 신뢰를 회복하나 싶더니만 국왕의 나이가 어리고 정치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데다, 실권을 모두 외척인 티렐 가문한테 사실상 뺏기고 만다. 또한 개막장인 나라사정은 여전히 해결이 안된채 악화되기만 하고 있다. 왕가의 존속은 불안하게 유지되고 있어 굉장히 위태롭다.

주요 바라테온 가문의 인물들                                    

 

  • 로버트 바라테온
    • 세르세이 바라테온
    • 조프리 바라테온
    • 미르셀라 바라테온
    • 토멘 바라테온
    • 로버트 바라테온의 서자들
  • 스타니스 바라테온
    • 셀리스 바라테온
    • 시린 바라테온 
  • 렌리 바라테온
  • 도날 노이에 
  • 듀란 
  • 오리스 바라테온 



가문의 시조                                                         

  • 스톰즈 엔드는 난공불략의 요새로 유명하지만 2부에서 3형제 집안 싸움이 나면서 무방비 상태인 빈집으로 방치되었다. 로버트가 왕위에 즉위한 이후부터 다섯왕의 전쟁까지 렌리의 소유였으나 렌리 사후 스타니스가 무혈입성으로 접수한다. 그리고 스타니스가 장벽으로 떠난 뒤에는 지키는 병력도 딱히 없던 성을 자칭 아에곤 타르가르옌 6세가 이끄는 황금 용병단 이 정복한다.
  •  이것 때문에 세르세이가 낳은 자식들이 바라테온이 아니라 라니스터라는 것이 드러나고 만다.
  •  특히 라니스터 가문 덕분에 왕가의 존속이 보전됨에 따라 권력이 그들에게 장악되어 왕권은 더욱 약화된다.
  •  킹스 랜딩의 바라테온 가문으로 불리며, 상징은 왕관 쓴 사슴과 사자.
  •  드래곤스톤의 바라테온 가문으로 불리며 상징은 불길에 휩싸인 왕관 쓴 사슴.
  •  솜씨 좋은 대장장이는 지위가 높다. 영주 직속.그러니 영주 아들인 바라테온 3형제도 가까이서 봐 왔고 잘 안다. 로버트의 유명한 워해머를 만든 게 그이며, 스타니스에게도 첫 장검 만들어준 사이.
  •  이 말의 뜻은 로버트는 매우 강인하면서 적당히 융통성이 있고, 스타니스는 강인하기만 하고 융통성이 없으며, 렌리는 겉모습은 멋있지만, 실속은 없고 강인함도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  전설이 사실이라면, 스톰랜드 가 폭풍이 심한 건 모두 이 놈 때문이다!
  •  의역하자면, 폭풍 종결자. 스톰에는 성을 공격하단 의미도 있으니 공성전 종결자라고도 해석 가능.


댓글 없음:

댓글 쓰기